1. 이미지 스프라이트
- 이미지를 합쳐서 사용
- 로딩 속도 빠라진다, 편집이 용이하다.
- 잘 안바뀌는 로고나 공통요소를 표현할때 쓰인다.
- 개별 상품 이미지 같은건 계속 업데이트되므로 안된다.
- css sptrite generator
- 이미지 3장 합치고 로고를 추출하는 것에 사용한다.
- 가로, 세로, 배경이미지, x, y 위치
- 좌표를 수동으로 측정~, sprite cow
2. 웹사이트에서 링크 불러오기
2-1) i 클래스를 사용해서 로고 불러오기, fa-'n'x 클래스를 추가해서 크게 확대하기
head영역에서 <link>로 웹페이지에 있는 css class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.
body영역의 클래스 이름에서 fa-2x를 큰따옴표 안에 스페이스바를 눌러 한칸 띄운 뒤 입력하면 크기가 2배 커진다.
i class로 만든 로고는 확대해도 화질이 깨지지 않는다.
i class 아이콘은 https://cbjh-4.tistory.com/17 17번 글에서 소개한 'font awesome'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검색 후 클래스 명을 확인할 수 있다. 해당 라이브러리 링크는 'cdnjs'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.
2-2)<span style = "color : 색"></span>
<span> 태그 사이에 i클래스를 넣어 색을 바꿀 수 있다. (이외에 다양한 데코레이션이 가능하다)
2-3) 인스타, 유튜브 로고 예제
2-3) Font Awesome 홈페이지 document 페이지 활용
무언가 아이콘에 데코레이션을 하고 싶으면 DOC탭에 들어가서 검색 후 사용하면된다.
>>수업 예제: 페이스북, 인스타, 유튜브 로고에 회전과 비트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자.
3. 오디오 삽입
src폴더에 audio폴더를 생성 후 음성 파일을 넣고, body 영역에서 <audio src = "주소".> </audio>태그로 불러오면 된다.
cotrols는 제어창을 생성한다. 재생, 중지, 진행바 등등이 나온다.
4. 비디오 삽입
embed : 끼워넣다.
embed태그 - 오디오, 비디오, swf(미디어 다 된다.)
embedded - 임베디드(끼워넣어진)
유튜브에서 주소창을 복사한 후 그대로 src에 붙여넣으면 접근을 거부했다고 뜬다. https://www.youtube.com/embed/id입력 >>> 이런식으로 입력해야 화면에 제대로 나온다.
또는 유튜브에서 '공유' -> '퍼가기' -> src="주소"에서 큰따옴표 안에 있는 주소를 복사해서 embed src주소에 붙여넣으면 된다.
4-1) embed의 type에 대해서
5. iframe
웹페이지안에 웹페이지를 삽입할 경우 사용함.
5-1) iframe 예시
&start='원하는 시작초' 입력하면 영상을 클릭할 때 시작하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.
5-1) iframe 예시 - 구글맵(API 키 필요함)
5-2) input태그
input태그를 넣으면 박스가 생기며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생성된다.
placeholder : 디폴트로 인풋 박스에 글을 출력한다.
value : 디폴트로 인풋 박스에 미리 입력된 값을 출력한다. 미리 입력된 값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.
maxlength :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길이를 제한한다.
★ <br/> 태그 : 다음줄로 이동
6. action 태그
7. HTML+CSS document 확인하는 사이트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
8. position
조상 기준 : 부모 기준과 같은 의미. 가장 가까운 상위 영역(디비전 같은)
8-1) absoulte에 조상 중 위치 지정 요소가 없다면 초기 컨테이닝 블록을 기준으로 잡는다는 것은 body를 기준으로 잡는다는 의미이다.
기능사 와이어프레임 예제에서 contents태그에 position:relative;를 입력하고 cont1에 position:absolute;를 설정하면 contents가 가장 가까운 조상 중 위치 지정 요소가 있기 때문에 contents를 기준으로 위치를 잡을 수 있다.
8-2) fiexd 뷰포트를 기준으로 위치를 고정한다.
뷰포트란 웹페이지상에 보이는 영역을 말한다.
예시) 화면을 마우스 스크롤로 이동해도 메뉴가 사라지지 않고 위쪽에 계속 보인다.
8-3 ) static
box는 공통요소이기 때문에 class를 사용한다.
id는 #two만 있기 때문에 one, three, four는 기본 .box형태를 갖는다.
positon: static;은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따라 배치하므로 top, left값을 넣어도 변화가 없다.
8-4) relative
relative는 일반적인 문서 흐름에 따라 배치하지만 top, left등 오프셋을 주어 이동이 가능하다.
8-5) absolute
요소를 일반적인 문서흐름에서 제거하고 부모기준으로 top, left와 같은 오프셋을 이용해 위치를 잡는다.
>>부모(one)를 기준으로 two위치를 top, left하여 오프셋 적용된 모습이다.
8-6) fixed
스타일 영역의 .outer{}는 p태그와 box디비전을 감싸는 영역이다. border-box를 써서 혹시 영역 밖으로 나갈 경우 튀어나오지 않게 했다. 그리고 영역을 넘어가는 부분은 overflow: scroll;로 스크롤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. box클래스가 position: fixed;이므로 스크롤로 outer부분을 이동해도 one박스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.
8-7) sticky
sticky 속성은 static과 fixed 속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속성입니다.
평소엔 static 처럼 행동하다가, 임계영역에 이르면 fixed로 전환됨
상단 0px에 고정됨 - 묻히기전에
'Coding 공부 > HTML+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+CSS_Summary] 웹 호스팅, 닷홈, Filezila, Just홈쇼핑 연습문제 (3) | 2024.02.08 |
---|---|
[HTML+CSS] 리트리버 과제, just쇼핑몰 예제, position 추가부분 (2) | 2024.02.05 |
[HTML+CSS]text-decoration, list-style-type, font-weight, float, display: flex;,flex-wrap: wrap; (0) | 2024.01.26 |
[HTML+CSS] calc, padding, order-radius, text-align, box-sizing (2) | 2024.01.26 |
[HTML+CSS_Summary] 클래스 선택자, 스팬, 리스트, 마진, 이미지 삽입 (0) | 2024.01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