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pring MVC의 숨은 조력자! @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 완전 정복! 🦸♀️🦸♂️
스프링 MVC 모델과 뷰 사이를 잇는 다리, 바로 @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입니다! 🙌 이 녀석은 폼 데이터를 객체에 착착 붙여주고, 뷰에 데이터를 쏙쏙 전달해주는 능력자죠. 😎
@ModelAttribute? 넌 누구냐! 🤔
- 데이터 바인딩 마법사: 클라이언트의 요청 파라미터를 객체에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마법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. 🧙♂️🧙♀️
- 모델 속성 등록: 뷰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모델에 추가해주는 역할도 담당합니다. 덕분에 뷰는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가져다 쓸 수 있죠! 🎁
- 다양한 활용: 컨트롤러 메서드 매개변수, 메서드 반환 값, 심지어 메서드 자체에도 사용할 수 있는 만능 엔터테이너입니다. 🤹♀️🤹♂️
어떻게 사용할까? 🧐
1. 컨트롤러 메서드 매개변수에 사용:
@PostMapping("/register")
public String register(@ModelAttribute User user) {
// ... 사용자 등록 로직
}
- 클라이언트가 보낸 폼 데이터를 User 객체에 자동으로 매핑해줍니다. 편리하죠? 😉
2. 메서드 반환 값에 사용:
@ModelAttribute("user")
public User getUser() {
// ... 사용자 정보 조회 로직
}
- user라는 이름으로 모델에 User 객체를 추가합니다. 이제 뷰에서 ${user}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어요! 👀
3. 메서드에 사용:
@ModelAttribute
public void addAttributes(Model model) {
model.addAttribute("categories", categoryService.getAllCategories());
}
- 뷰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모델에 추가할 때 유용합니다. 예를 들어 모든 페이지에 카테고리 목록을 보여주고 싶다면 이렇게 사용하면 됩니다! 👍
꿀팁! 🍯
- @ModelAttribute는 폼 처리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서 데이터 바인딩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.
- BindingResult를 함께 사용하면 폼 검증 결과를 뷰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
- @SessionAttributes를 사용하면 모델 속성을 세션에 저장하여 여러 요청 간에 공유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 🏁
@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은 스프링 MVC 개발에서 놓칠 수 없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 데이터 바인딩과 모델 속성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여보세요! 🚀
'Coding 공부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xios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: JSON, FormData, RequestBody (0) | 2024.07.10 |
---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