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베디드 관련 카테고리/Ubuntu
.env 파일로 GITHUB_TOKEN 환경 변수 항상 사용하기
CBJH
2024. 10. 22. 13:00
728x90
반응형
1. GITHUB_TOKEN을 저장할 .env 파일 생성
1. 프로젝트 폴더 또는 홈 디렉터리로 이동
아래 예시는 홈 디렉터리(~)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.
cd ~
2. vi 편집기로 .env 파일 생성 및 수정
3. vi 편집기에서 GITHUB_TOKEN 추가
vi .env
- vi가 열리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.
GITHUB_TOKEN=your_personal_access_token
- 저장 후 종료:
- **ESC**를 누르고 **:wq**를 입력한 후 Enter를 눌러 저장하고 종료합니다.
- GITHUB_TOKEN(PTA)를 발급 받는 방법 링크
2. .env 파일에 대한 파일 권한 설정
.env 파일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파일 권한을 제한합니다.
1. 권한을 현재 사용자만 읽고 쓸 수 있도록 설정
chmod 600 ~/.env
chmod 600: 현재 사용자에게만 읽기 및 쓰기 권한을 부여합니다. 다른 사용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.
2. 권한 설정 확인
ls -l ~/.env
출력 예시 :
-rw------- 1 your_user your_user 29 Oct 21 14:22 .env
- -rw-------: 현재 사용자만 읽기(r)와 쓰기(w)가 가능하며, 다른 사용자에게는 접근 권한이 없습니다.
3. 환경 변수 자동 로딩을 위한 설정
1. Bash 셸 설정 파일 열기
- Ubuntu에서는 ~/.bashrc 파일이 셸 초기화 시 로드됩니다.
vi ~/.bashrc
2. .env 파일 로드 명령 추가
- ~/.bashrc 파일 끝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.
if [ -f ~/.env ]; then
export $(cat ~/.env | xargs)
fi
설명:
- if [ -f ~/.env ]; then: .env 파일이 존재할 때만 명령을 실행합니다.
- export $(cat ~/.env | xargs): .env 파일의 내용을 환경 변수로 등록합니다.
4. 설정 반영 및 테스트
1. 변경 사항 반영:
source ~/.bashrc
2. 환경 변수 확인:
echo $GITHUB_TOKEN
출력 결과: your_personal_access_token이 출력되면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.
5. 재부팅 후에도 GITHUB_TOKEN 사용하기
이제 터미널을 새로 열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하더라도 $GITHUB_TOKEN 변수가 자동으로 설정됩니다.
6. 주의사항
- 보안에 유의:
-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, .env 파일에 저장된 민감한 정보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.
- /etc/environment와 같이 시스템 전역 환경 변수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면, 사용자별 환경 변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.env 파일을 .gitignore에 추가:
- 프로젝트와 함께 .env 파일이 깃허브에 업로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.
# .gitignore에 추가
.env
7. 결론
이제 .env 파일에 GITHUB_TOKEN을 안전하게 저장하고, Ubuntu 터미널에서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화되었습니다.
- 파일 권한 설정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도록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.
- 터미널 시작 시 자동으로 로드되어 매번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